본문 바로가기
Temporary

오징어 게임 리뷰

by wannabe풍류객 2021. 9. 24.
반응형

넷플릭스의 오징어 게임이 세계적으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고 한다. 이정재 출연작이라는 이유로 봤는데 의외로 이병헌에 공유까지 짧게 출연한다.

드라마를 보며 가장 당혹스러운 점은 오징어 게임이라는 걸 해 본 적도 들어본 저도 없다는 사실이다. 나이는 이 게임을 충분히 알았어야 할 만큼 먹었지만 내가 살던 시골 동네, ‘국민학교’에서는 아이들이 이 놀이를 하지 않았다. 남들은 했는데 나는 몰랐을 가능성은 있지만 그래도 해본 사람이 많다는 걸 요즘 알게 되니 당황스럽다.

오징어 가이센이라는 말을 하는 모양이고 이는 개전의 일본식 발음이라 이 게임의 일본 기원을 점칠 수 있다. 드라마는 다른 작품들로부터 여러 요소를 가져왔다는 의심을 많이 사는 중이고 그 중에는 일본 작품이 많다. 나만 해도 드라마로 본 라이어 게임이 즉각 떠올랐고, 가장 많이 언급된 건 카이지였는데 이건 못 봤다. 정말 목숨을 두고 건 게임이라는 점에서 배틀 로얄도 생각나고, 빨간 복장과 가면 때문에 종이의 집이 생각날 수도 있다. 빨간 옷이 강렬하기로는 핸드메이즈 테일도 있었다. 부자들이 하도 심심하여 갈 곳 없는 인간들 혹은 아무 영문도 모르는 인간들을 감금이나 납치하여 서바이벌 게임을 벌이게 하는 작품은 서구 영화에서 오래 전부터 나온 듯 하다. 어떤 참가자가 특별한 능력을 발휘해 그런 게임의 주도자를 찾는 것도 이미 본 설정이다.

이 작품에 대해서도 새로운 화제작에 대해 흔히 나타나는 반응이 나온다. 어떤 이들은 재미있게 봤다 하고, 어떤 이들은 베껴온 게 많아 재미없다 한다. 두 입장은 다 취할 수 있다고 본다. 나는 굳이 말하자면 어중간한 위치의 느낌을 받았다. 재미가 있으면서도 불편함이나 기시감 때문에 아주 높은 점수를 줄 수는 없었다.

이 드라마가 여러 해외 작품들의 요소들을 차용했다고 하면(감독은 이미 십몇 년 전에 써놓은 각본이라 자기가 먼저라고 하지만 중요한 설정과 장치 몇 가지는 오리지널리티를 주장할 수 없다고 본다) 드라마의 한국적 요소(이걸 굳이 따져야하느냐가 논쟁적일 수 있지만)를 생각해볼 수도 있겠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서바이벌 게임의 종목들에서 찾을 수 있다. 살인이 난무하는 드라마의 진면목을 확 일깨워준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뽑기, 구슬치기, 오징어 게임은 확실히 예전에 많이 하던 놀이들이다. 이 놀이들의 기원을 따지면 또 해외로 거슬러가는 부분이 있을지 모르지만 놀이를 할 때의 언어, 구성원은 대체로 못 살던 시절의 우리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번 할아버지가 구슬치기를 하며 골목길을 따라 걸으며 어린 시절 마을을 떠올리는 것이야말로 이 게임들의 한국적 요소를 대표한다. 서울대 경영학과 수석이라고 말하는 방식, 어제야 알았지만 쌍용 자동차 사건 등도 한국적이라 하겠다.

오징어 게임은 역시 얼마 전에 나온 넷플릭스의 dp와 몇 가지 점을 공유한다. 거친 언어와 폭력이다. 언어의 차원에서는 dp쪽에 욕설이 더 많았던 듯 하지만 인생의 나락에 떨어진 사람들이 대부분인 이 드라마의 캐릭터들의 언어도 듣기에 불편한 편이다. 폭력의 정도로 치면 이 드라마는 도가 지나쳤다고 할 수밖에 없다. 인간 4백 몇 십 명을 모아놓고 한 명이 남을 때까지 다 죽이고, 일부 의식이 남은 곧 죽을 참여자는 장기 매매의 수단으로 삼으며 해체 장면까지 보여준다. 참여자들이 죽을 때 대개는 깔끔하게 보여주지만 몇 번은 뇌가 터지는 식으로 잔혹한 장면을 보여준다. 어떤 영화는 전쟁 영화임에도 피조차 잘 보여주지 않는데 굳이 이렇게 잔인한 장면을 전시했어야하는지 의문이다. 이런 잔인한 게임을 즐기는 부자들이 있음을 보여주고 비판하기 위함이겠지만 결국 넷플릭스로 이런 작품을 보는 시청자들까지 그런 걸 즐기는 인간으로 만들고 만다. 스포츠가 폭력의 대체물 성격이 있고, 유럽 귀족들은 동물 사냥으로 여흥을 즐겼지만 적어도 이 드라마는 죽음을 순화시켜 전시했어야 하지 않을까.

드라마의 큰 세팅에 대해 생각해본다. 결국 1번 할아버지가 예전에 금융으로 큰 돈을 벌었고, 다른 심심한 부자들과 함께 이런 서바이벌 게임을 시작했다는 거고, 죽을 날을 얼마 남기지 않게 되자 이정재가 참여했을 시기에 직접 게임에 참여하기에 이른다. 이 게임은 한국의 무인도에서만 벌어지는 게 아니라 세계 다른 곳에서도 일어나고 있고, 글로벌 부자들은 누가 우승할지에 판돈을 건다. 우습게도 이 부자들은 큰 돈을 걸었음에도 정작 돈을 따는지 잃는지는 관심도 없다. 옆에 미남자가 오자 미련없이 자리를 떠서 다른 데로 간다. 참여자들의 몸값만 인당 1억이라 한 번 우승자를 가리는 동안에만 수 백 억원이 들어가고, 기타 여러 비용이들어가는데 이 정도의 돈을 물쓰듯 할 부자가 그렇게 많을지는 의문이다. 더구나 이 게임은 1998년부터 시작되는 것처럼 나오니 총액을 따지면 좀 말이 안 된다(몸값에 인플레를 적용했을 수도 있겠다). 98년은 한국에서 IMF위기의 절정기인데 그 때 한국의 한 켠에서 돈을 이렇게 낭비할 여력이 있었다는 건 거의 설정오류처럼 느껴지지만, 그 위기에서도 돈이 넘쳐나고 심심해서 못 견딜 부자가 있었다는 점에서 역설적이고 바로 그 때가 대량 정리해고의 시작점이니 적어도 게임 참여 대상은 넘쳐났을 것이다. 생각해보면 97, 98년은 한국에서 양극화가 심해지는 분기점이었다. 한국의 생존경쟁은 그 때부터 격심해져서 오징어 게임 참여자들의 행태는 현실의 메타포로 읽을 수는 있다.

드라마의 특이 캐릭터로 파키스탄 출신 외국인 노동자와 탈북민 여성이 있다. 한국 사회의 일원이지만 주변인이자 투명인간처럼 존재하는 이들은 오징어 게임에서 큰 비중으로 등장하여 의미있는 설정이었다. 이들은 공교롭게도 서울대 경영학과 수석 출신 때문에 죽는데 한국 사회 엘리트가 양심보다 돈을 추구함을 상징하는 듯 하다. 서울대 경영학과를 나와도 거액의 빚을 질 따름이고 진짜 돈은 극소수의 글로벌 금융 자본가들이 움직인다. 아마도 그런 사실 자체를 과장되고 극단적인 형식으로나마 표현한 것이 이 드라마의 미덕이라면 미덕일 것이다. 이런 거대한 현실의 배경은 많은 이들이 알고 있지만 어떻게 할 수 없다고 체념하고 부자들이 설계한 세상에서 바보처럼 이전투구를 벌인다. 그러면 단순히 부르주아라고 칭하긴 거대한 금융 자본가들을 처단하는 혁명을 일으켜야 할까? 그러나 이 글로벌한 차원의 부의 핵심은 어디에 있는지가 예전 인민 혹은 민중이 왕궁이나 귀족의 성을 찾는 것만큼 명확하지 않다는 게 문제다.




반응형

'Tempor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last duel (2021)  (0) 2021.10.21
파운데이션 1, 2화  (0) 2021.09.28
DP 리뷰  (0) 2021.09.03
B 인터넷 ip 공유서비스 미가입에 의한 제한에 걸리다  (0) 2021.09.02
The North Water finale  (0) 2021.08.18